맨위로가기

문동환 (야구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동환은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로, 투수로서 프로 통산 10시즌 동안 77승을 기록했다.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현대 피닉스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으며,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 참가했다. 이후 롯데 자이언츠, 두산 베어스, 한화 이글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1999년에는 롯데 자이언츠 소속으로 한국시리즈 진출에 기여하고 승률왕을 차지했다. 은퇴 후에는 지도자로 활동하며, 한화 이글스, 두산 베어스 등에서 코치를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야구 참가 선수 - 박찬호
    박찬호는 한국인 최초로 메이저 리그에 진출하여 아시아 출신 투수 최다승 기록을 세운 전직 야구 선수로, 메이저 리그와 KBO 리그에서 활약했으며 국가대표로도 금메달을 획득했다.
  • 199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야구 참가 선수 - 최기문 (야구인)
    최기문은 OB 베어스와 롯데 자이언츠에서 선수 생활을 한 전 KBO 리그 포수이자 야구 코치로, 롯데 자이언츠 시절 주전 포수로 활약하며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나 병역 비리 사건 이후 부진했고, 은퇴 후 코치를 거쳐 현재 파주 챌린저스 감독을 맡고 있다.
  • 1994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조성민 (야구인)
    조성민은 일본 프로 야구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투수로 활동했으나 부상 후 한국 프로 야구 한화 이글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고, 은퇴 후 야구 해설가와 코치로 활동했으며, 배우 최진실과의 결혼과 이혼, 사망 후 사회적 논란을 겪다 사망했다.
  • 1994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최기문 (야구인)
    최기문은 OB 베어스와 롯데 자이언츠에서 선수 생활을 한 전 KBO 리그 포수이자 야구 코치로, 롯데 자이언츠 시절 주전 포수로 활약하며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나 병역 비리 사건 이후 부진했고, 은퇴 후 코치를 거쳐 현재 파주 챌린저스 감독을 맡고 있다.
  • 대천중학교 (부산) 동문 - 권성주
    권성주는 연세대학교와 도쿄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금호산업 등에서 근무한 기업인이자, 바른정당, 국민의힘 등에서 활동하며 현재 게이트웨이 투 코리아 대표이사와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객원교수를 겸임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대천중학교 (부산) 동문 - 이혜천
    이혜천은 OB 베어스에 입단하여 멜버른 에이시스에서 은퇴한 한국, 일본, 호주의 프로야구 선수로, 주로 좌완 중간 계투로 활동하며 KBO 리그에서 700경기 이상 출장, 1000이닝 이상을 투구하는 기록을 세웠고, '이핵천', '12억 화염 방사기' 등의 별명으로 불렸다.
문동환 (야구인) - [인물]에 관한 문서
선수 정보
선수명문동환 (문동환)
영어 표기해당 정보 없음
소속 구단해당 정보 없음
역할해당 정보 없음
등번호해당 정보 없음
국적대한민국
출신지경상북도 경산시
생년월일1972년 5월 8일 (만 52세)
사망일해당 정보 없음
신장183
체중92
투구
타석
수비 위치투수
프로 입단1995년
드래프트 순위1995년 1차 지명 (1997년 입단)
첫 출장1997년 5월 28일
마지막 경기2007년 10월 6일
획득 타이틀1999년 승률왕
연봉해당 정보 없음
경력
선수 경력현대 피닉스 (실업) (1995년 ~ 1996년)
현대 유니콘스 (1997년)
롯데 자이언츠 (1997년 ~ 2003년)
한화 이글스 (2004년 ~ 2009년)
코치 경력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야구부 투수코치 (2009년 ~ 2010년)
한화 이글스 재활코치 (2011년)
한화 이글스 불펜 투수코치 (2011년 ~ 2012년)
두산 베어스 재활코치 (2013년 ~ 2014년)
두산 베어스 2군 투수코치 (2014년 ~ 2016년)
아마추어 경력동봉고등학교
연세대학교
현대 피닉스
대표팀 경력
국가대한민국
올림픽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야구
아시안 게임1994년 아시안 게임
유니버시아드199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메달
메달 정보1994 히로시마 단체전 은메달
1993 버펄로 단체전 은메달

2. 선수 시절

2. 1. 현대 피닉스 시절

1995년 연세대학교를 졸업한 후 아마추어 실업 야구 팀인 현대 피닉스에 입단하여 활동했고, 애틀랜타 올림픽에 참가하였다. 애틀랜타 올림픽이 끝난 후 공익근무요원으로 복무했다.[2]

현대 피닉스는 현대그룹태평양 돌핀스를 인수하여 프로에 진출하기 전, 한국 프로 야구에 신규 진입하거나 한국 야구 위원회에 대항하는 신 리그 창설을 목적으로 만든 아마추어 구단이었다. 신규 구단을 창설하여 프로 진출을 노리던 현대그룹은 기존 KBO 구단의 반대에 부딪혀 무산되자 대안으로 아마추어 구단인 피닉스 구단을 창설했다. 1994년, 1995년 시즌 종료 후 프로 지명을 받은 많은 대졸 선수들을 기존 프로 구단보다 높은 거액의 계약금으로 유혹하여 입단시킴으로써 기존 KBO 구단들을 곤경에 빠뜨렸다. 피닉스 구단은 명목상 아마추어였기 때문에, 프로 지명을 받은 선수들이 입단하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이후, 현대그룹이 태평양 돌핀스를 인수하여 프로에 진출했을 때, 현대 피닉스 선수들을 원 소속팀으로 보내는 조건으로 선수들을 트레이드하는 방식으로 전력을 보강했다. 현대 피닉스는 아마추어 팀이었고, 현대 유니콘스는 프로 구단이었기 때문에, 피닉스 소속 선수들에 대한 보유권이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여, 실질적으로는 선수 맞트레이드였지만, 형식상으로는 획득한 선수는 무상 트레이드로 이적, 피닉스 소속 선수는 아마추어 출신 신인 선수로서 지명 구단에 입단하게 되었다. 이 당시 한국 프로 야구에서는 1차 드래프트 지명 선수에게 영구 교섭권이 주어졌으며, 피닉스 소속 선수를 유니콘스에 입단시킬 방법은 없었다.[2]

2. 2. 롯데 자이언츠 시절

1996년 시즌 오프에 롯데 자이언츠가 1번 타자로 활약하던 전준호를 현대 유니콘스로 트레이드하는 조건으로 계약을 해지하고 신규 입단 선수로 2년 후배인 손민한과 함께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했다.[4] 대학교 시절부터 1년 후배인 임선동, 라이벌인 고려대학교의 조성민, 손민한 등과 함께 한국 아마추어 대표팀의 주축으로 활약했다. 현대 피닉스 재적 시절에는 아마추어 선수로서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 출전하는 등 동시 입단한 손민한과 함께 롯데의 투수진을 이끌 에이스 후보로 기대를 모았다.

신인 시절에는 기대에 못 미치는 성적을 거두었지만, 이듬해부터 두 자릿수 승리를 거두었고, 입단 3년차인 1999년에는 17승으로 팀의 한국시리즈 진출에 공헌했다.[4] 이 해의 한일 프로야구 슈퍼게임 2차전에서는 선발의 중책을 맡았다.

그러나 2000년부터 부상에 시달리며 출장이 급감했다.[4] 공교롭게도 동시 입단한 손민한은 입단 후 3년간 부상에 시달렸고, 부상에서 회복하여 로테이션에 정착했을 때는 문동환이 부상으로 부진에 빠져 롯데 구단이 그렸던 두 투수에 의한 안정적인 선발진 구축은 이루지 못한 채 끝났다.

부상은 예상 외로 장기화되어 결국 2003년에는 한 경기도 등판하지 못하고 끝났다.[4] 그래서 롯데는 그의 회복에 대한 기대를 버리고 두산 베어스정수근이 프리 에이전트를 선언하고 롯데로 이적할 때 보상 선수로 두산으로 트레이드되었다. 게다가 선수협 파동 때문에[3] 구단으로부터 미운털이 찍혔다.

2. 3. 두산 베어스 시절

한화 이글스포수 채상병을 영입하기 위한 트레이드 카드로 지명되었으며, 두산 베어스 유니폼을 입어보지도 못한 채 삼각 트레이드 형태로 한화로 다시 트레이드되었다. 두산에 재적했던 기간은 단 11일이었다.

2. 4. 한화 이글스 시절

2004년 이적 첫 해에는 4승 15패로 부진했지만, 5년 만에 120이닝을 넘어서는 등 등판 기회가 늘어나 부활에 대한 자신감을 되찾았다.[5] 2005년부터 김인식 감독 아래에서 2005년 10승,[5] 2006년에는 16승으로 부활했다.[5] 2007년에는 다시 부상에 시달리며 5승에 그쳤다.[5] 2008년에는 1군 등판이 1경기도 없었고, 2009년에도 2년 연속 1군 등판 기회를 잡지 못한 채 시즌 도중 7월에 웨이버 공시되어 퇴단했다.[5]

3. 은퇴 후

방출 후 개인 재활 훈련을 하다가 롯데 자이언츠 시절 인연을 맺은 박정환 감독의 제안으로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야구부 투수 코치로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7] 2011년 이상군 코치가 구단 운영 팀장으로 보직을 변경하며 재활 코치로 부임하여 한화 이글스에 복귀하였다.[7] 그 후 1군-2군 코치진 교체 때 1군으로 올라와 불펜 코치를 맡았다. 2012년부터 두산 베어스로 옮겨 김민재, 강성우 코치와 함께 영입되었다. 2013년 시즌에는 두산 베어스 2군에서 재활 코치를 맡았고, 2014년 시즌부터 2군 투수 코치로 활동했다.

4. 출신 학교

wikitext

5. 통산 기록

문동환은 프로 통산 10시즌 동안 228경기에 등판하여 77승 64패 17세이브, 평균자책점 3.84를 기록했다. 1999년에는 승률왕을 차지했다.

연도소속포지션평균자책경기세이브이닝피안타사사구탈삼진실점자책점비고
1997롯데마무리 투수4.8522258394016232121
1998선발 투수3.16311256136 2/312140865048
19993.28301740189 1/3171761417569승률왕
20003.8812730727125583331
20016.5713240374422212927
20025.1017272678325494638
2004한화5.37254150120 2/314750568872
20053.47261090173 2/3174601037467
20063.0531169118918678857864
20073.1121530848740373229
통산10시즌투수3.842287764171108 1/31124484659526466


참조

[1] 뉴스 링크 https://sports.news.[...]
[2] 뉴스 문동환, 다음 달 공익근무요원 복무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3] 뉴스 프로야구 선수협, 제2기 집행부 출범(종합)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2021-06-24
[4] 뉴스 문동환 결국 한화행 http://sports.hankoo[...] 스포츠한국(스포츠투데이) 2021-06-17
[5] 뉴스 "'방출' 문동환, 1군에 서고 싶던 사나이" http://osen.mt.co.kr[...] OSEN 2009-07-08
[6] 뉴스 불운의 에이스 문동환의 도전 http://sports.donga.[...] 스포츠동아
[7] 뉴스 문동환, 포철공고 코치로 지도자 깜짝 변신 https://news.naver.c[...] OS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